이론 43

네트워크 -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바로 이름이 다르다는 것 입니다. 농담 ^^; 1.가격과 인기도! 물론 스위치가 가격이 더 비싸고 인기 있습니다! 2.처리속도! 스위치는 처리하는 방식이 하드웨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 프레임을 처리하는 브릿지에 비해서 훨씬 빠릅니다. 예를 들어 생각하면 전기가 슈욱 지나가는거랑 하나 둘 따지는거랑 속도차이라고 생각하면 쉽겠죠? 3.속도의 설정! 브리지는 포트들의 같은 속도를 지원하는 한편 스위치는 10메가 포트와 100메가 포트가 한 장비에 같이 있을때도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4.포트의 수! 스위치는 브리지에 비해 제공하는 포트 수가 훨씬 많습니다. 5.처리 방식의 차이! 스위치의 경우는 cut-througn, 또는 store-an..

이론 2011.08.04

네트워크-브리지

브리지란? 브릿지는 허브로 연결된 PC들이 통신을 하다보면 다른 통신을 하는 PC를 제외한 PC는 통신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콜리전 도메인(PC충돌영역)을 나누어 지기 위한 것이 바로 브릿지 입니다. 이전에 적어놓은 스위치와도 비슷한 역활을 하는것이 브릿지 입니다. 브릿지의 기능 1.콜리전 도메인의 다리 브릿지는 허브로 만들어지 콜리전 도메인 사이를 반으로 나누고 중간에 다리를 놓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다른 콜리전 도메인 끼리도 통신이 가능하게 되지요, 2.콜리전 도메인의 검문소 A라는 콜리전 도메인에서 B라는 콜리전 도메인에 통신을 원할 경우 브릿지에 저장되어있는 맥 어드래스를 비교한후 통신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세부적인 브리지/ 스위치의 기능 Learning 들어온 포트를 저장한다. Flood..

네트워크 - 허브

허브란? 허브는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멀티포트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있다는 뜻이고, 리피터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전송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허브는 포트가 여러개 달린 장비인데, 이것은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주는 장비 입니다. 허브의 사용 허브도 랜카드처럼 여러가지 구분이 있습니다. 이더넷용이냐, 토큰링용이냐가 있고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인가 패스트 허브인가에 대한 차이도 있습니다. 역시 자신에 맞는 허브를 사용해야겠죠? 허브의 원리 한 PC가 데이터를 허브에 전송하면 허브는 데이터가 들어온 1번 포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포트로 그 데이터를 뿌려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나머지 PC들은 자신에게 날아온 데이터인가를 비교하게되고 아니면..

네트워크 - 랜카드

랜카드는 랜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로서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 주는 역활을 합니다. 기기에 따른 구분 이것을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탑용 랜카드와 PCMCIA방식이라고 하는 노트북용이나 프린터 포트용이나 모양은 다르지만 하는일이 같습니다. 다만 PC와 연결할 때 접속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기때문에 하는일이 똑같다고 아무거나 사서 쓰면 안되고 각각의 기기에 맞는걸 사용해야 합니다. 버스에 따른 구분 그리고 데스크탑 용 랜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버스(데이터가 다니는 길)의 종류에 따라서 랜카드가 달라집니다 버스의 종류는 크게 3가지(PCI, ISA, EISA)가 있습니다. 속도에 따른 구분 이더넷 카드는 크..

네트워크 - IP주소

IP주소란?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려면 자료를 주고 받을 사람이 누군지 알아야 합니다.사람은 그 이름으로 대상을 구별하지만 컴퓨터는 무었으로 구별할가요? 바로 IP주소로 구별한답니다.네트워크부분? 호스트부분? 네트워크 부분은 브로드캐스트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뿌렸을 때 그 데이터가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도 바로 받을 수 있는 영역이라는 뜻 입니다. 그렇다면 호스트 부분은? 말 뜻 그대로 주인이라는 의미가 아니고 그냥 각각의 PC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클래스? IP주소는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라는 것입니다. 이제 32비트의 IP주소 중에서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 ID이고 어느 부분이 호스트 ID인지를 구분해야 한 D클래스는 맨 앞부분이 1110으로 시작하는 ..

네트워크 -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이란 우리말로 하면 규약, 협약, 이런 비슷한 뜻인데, 컴퓨터 끼리는 이런 프로토콜이 서로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한국인이 일본에가서 일본말을 해야 말이 통하는 것과 같습니다. 보통 인터넷은 TCP/I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런 프로토콜도 우리들이 말하는 언어와 같이 여러 종류의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우선 친숙한 TCP/IP프로토콜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CP/IP TCP/IP프로토콜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약자입니다. 1970년대 초반부터 많은 업체들이 다양한 방법과 기술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프로토콜들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나온 프로토콜이 TCP/IP프로토콜 입..

네트워크 - 유니캐스트,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캐스트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입니다 유니캐스트 1;1로 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입니다. 우리가 랜에서 통신을 한다고 할 때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PC의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의 맥 어드래스를 적어넣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유니캐스트 통신 방식입니다. 정확하게 받는 pc의 주소를 프레임 안에 써넣는데 이때 PC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뿌리게되면 모든 PC들에게 정보를 뿌리는 방식이기에 그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들에게 일단 이 프레임을 받아 들여서 랜카드에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하게 됩니다. 그 다음 자신의 랜카드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 맥 어드래스가 서로 다른 경우는 바로 그 프레임을 버리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것이 ..

정규화

데이터베이스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는 테이블의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있다. 테이블의 구조가 잘못 설계되어 구축될 경우 데이터를 올바르게 이용할 수 없다. 중복되거나 잘못된 데이터를 발생시킴으로써, 구축된 시스템의성능 문제뿐만 아니라 데이터 오류에 의한 잘못된 의사결정을 하게된다. 작성된 테이블은 데이터의 중복성을 막고 무결성을 강화시킬 수 있독록 해주는 정규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정규화의 종류 높은 단계의 정규화를 수행할 수록 더 바람직한 테이블 구조를 갖겠지만 대게 제 3정규형까지가 실제 모델링에 사용된다. 제 1 정규형(First Normal Form, 1NF) 제 2 정규형(SecondNormal Form, 2NF) 제 3 정규형(ThirdNormal Form, 3NF) B..

이론/DB이론 2011.06.03

데이터 베이스의 개발

개발 과정 요구사항 분석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데이터베이스의 구축 1.요구사항 분석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표현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업무 파악을 위한 많은 종류의 도구들이 제안되었는데 가장 이해하기 쉽고 많이 사용되는것이 업무 흐름도이다. 업무 분석의 절차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면담과 기존 업무 양식 문서를 통해 분석한 자료를 요구명세서로 표현하는데 이후의 모든 설계 구축 작업의 기초가 되는 자료이므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첫번째(현행시스템 파악:요구 사항 명세서) ▶두번째(현행 논리 시스템 도출:현행 업무 흐름도) ▶세번째(새로운 논리 시스템 입안:신규 업무흐름도) ▶네번째(새로운 시스템 입안:신규 시스템 제안서..

이론/DB이론 2011.06.03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구조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 1.계층형 데이터베이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HDB:Hierarchical Database)는 트리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계층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계층형 데이터모델에서 데이터는 트리 형태로 구성되며,각 데이터 요소(개체)들은 상하 관계를 나타내는 링크로 구성된다. 2.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NDB:Network Database)는 그래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은 개체와 개체 관계를 그래프 구조로 연결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이는 계층형 데이터 모델과 유사하나, 부모(상위 계체)를 여러개 가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3.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Relational Database)..

이론/DB이론 201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