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1037

네트워크 - 허브

허브란? 허브는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멀티포트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있다는 뜻이고, 리피터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전송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허브는 포트가 여러개 달린 장비인데, 이것은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주는 장비 입니다. 허브의 사용 허브도 랜카드처럼 여러가지 구분이 있습니다. 이더넷용이냐, 토큰링용이냐가 있고 속도에 따라 그냥 허브인가 패스트 허브인가에 대한 차이도 있습니다. 역시 자신에 맞는 허브를 사용해야겠죠? 허브의 원리 한 PC가 데이터를 허브에 전송하면 허브는 데이터가 들어온 1번 포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포트로 그 데이터를 뿌려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나머지 PC들은 자신에게 날아온 데이터인가를 비교하게되고 아니면..

네트워크 - 랜카드

랜카드는 랜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로서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 주는 역활을 합니다. 기기에 따른 구분 이것을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따라서 데스크탑용 랜카드와 PCMCIA방식이라고 하는 노트북용이나 프린터 포트용이나 모양은 다르지만 하는일이 같습니다. 다만 PC와 연결할 때 접속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기때문에 하는일이 똑같다고 아무거나 사서 쓰면 안되고 각각의 기기에 맞는걸 사용해야 합니다. 버스에 따른 구분 그리고 데스크탑 용 랜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버스(데이터가 다니는 길)의 종류에 따라서 랜카드가 달라집니다 버스의 종류는 크게 3가지(PCI, ISA, EISA)가 있습니다. 속도에 따른 구분 이더넷 카드는 크..

네트워크 - IP주소

IP주소란?서로 정보를 주고 받으려면 자료를 주고 받을 사람이 누군지 알아야 합니다.사람은 그 이름으로 대상을 구별하지만 컴퓨터는 무었으로 구별할가요? 바로 IP주소로 구별한답니다.네트워크부분? 호스트부분? 네트워크 부분은 브로드캐스트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뿌렸을 때 그 데이터가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도 바로 받을 수 있는 영역이라는 뜻 입니다. 그렇다면 호스트 부분은? 말 뜻 그대로 주인이라는 의미가 아니고 그냥 각각의 PC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클래스? IP주소는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라는 것입니다. 이제 32비트의 IP주소 중에서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 ID이고 어느 부분이 호스트 ID인지를 구분해야 한 D클래스는 맨 앞부분이 1110으로 시작하는 ..

네트워크 - 프로토콜

프로토콜(Protocol)이란 우리말로 하면 규약, 협약, 이런 비슷한 뜻인데, 컴퓨터 끼리는 이런 프로토콜이 서로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한국인이 일본에가서 일본말을 해야 말이 통하는 것과 같습니다. 보통 인터넷은 TCP/I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런 프로토콜도 우리들이 말하는 언어와 같이 여러 종류의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우선 친숙한 TCP/IP프로토콜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CP/IP TCP/IP프로토콜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약자입니다. 1970년대 초반부터 많은 업체들이 다양한 방법과 기술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프로토콜들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나온 프로토콜이 TCP/IP프로토콜 입..

네트워크 - 유니캐스트,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캐스트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입니다 유니캐스트 1;1로 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입니다. 우리가 랜에서 통신을 한다고 할 때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PC의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의 맥 어드래스를 적어넣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유니캐스트 통신 방식입니다. 정확하게 받는 pc의 주소를 프레임 안에 써넣는데 이때 PC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뿌리게되면 모든 PC들에게 정보를 뿌리는 방식이기에 그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는 모든 PC들에게 일단 이 프레임을 받아 들여서 랜카드에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하게 됩니다. 그 다음 자신의 랜카드 맥 어드레스와 목적지 맥 어드래스가 서로 다른 경우는 바로 그 프레임을 버리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것이 ..

Java - 20.참조

'참조'는 특정 객체가 메모리에 생성되며 가지는 유일한 주소값을 통해 해당 객체(클래스,인터페이스, 등)에 접근한다. 쉽게 말하자면 일반적인 변수를 만들면 곧바로 메모리가 만들어지고 그 메모리에 값을 넣지만 참조 타입은 메모리에 메모리를 하나 더 만들고 첫번째 메모리는 두번째 메모리의 주소값을 넣고 두번째 메모리에 값을 넣는다. 더 쉽게 말하면 보통 변수는 철수야~ 하면 철수가 오지만 변수 -> 데이터 참조 타입(레퍼런스 타입)은 철수야~ 하면 철수집주소를 아는 녀석이 주소를 적어주고 그 주소대로 찾아가야 철수를 만날 수가 있다. 변수 -> 데이터의 주소 -> 데이터 참조타입은 클래스 타입, 인터페이스 타입, 배열 타입, 열거 타입 등으로 구성된다. '참조'는 특정 객체가 메모리에 생성되며 가지는 유일한..

JAVA - 19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부모 클래스의 모든 메서드를 추상화 할 때 자식 클래스에 존제하는 메서드를 외부에 숨길 수 있어 불필요하게 수행 내용이 포함된 클래스로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클래스의 모든 메서드를 추상 메서드로 정의할 필요가 있을 경우 클래스 대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인터페이스는 기존 클래스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class라는 예약어 대신이 interface 라는 예약어를 사용해 정의한다. 물론 interface 예약어 앞으로 접근 제어 예약어들이 올 수 는 있지만, 인터페이스의 구성 메서드는 오직 추상 메서드만 존재한다. 즉 필드나 일반 메서드(추상 메서드가 아닌 메서드)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가 될 수 없다. 사용방법 1.임의의 클래스에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려고 할 경우..

JAVA - 18.추상 메서드와 추상 클래스

추상메서드,클래스란? 추상 메서드,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서드 바디가 자식 클래스에서 메소드의 바디를 모두 재사용하게되었을경우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서드는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즉 부모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서드의 시그니처(리턴형, 식별자, 매개인자 등)느 모든 자식 클래스에서 일관되게 사용하되 메서드의 바디는 서로 다른 내용으로 기술 때 어차피 메서드의 바디를 자식 클래스별로 채울 것이므로 해당 메서드를 부모 클래스에서 추상 메서드로 정의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사용방법 추상클래스는 메서드의 리턴형 앞에'abstract'라는 예약어와 일반적인 메서드의 바디가 ';'로 생략한다. 또한 추상 메서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클래스에서도 'abstract' 예약어를 명기해야 한다. public ..

JAVA - 17.오버라이드,오버로드

오버라이드란? 오버라이드는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 사이에 존재하는 상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보통 상속 관계에 있는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를 그대로 사용한다. 즉 자식클래스에서 추가로 정의된 메서드를 제외하고 상속받은 메서드는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한 기능을 그대로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하기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overriding)하여 실행 사항을 자식 클래스에 맞게 변경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럴 경우 오버라이딩을 쓰게 된다. 오버라이딩 하기 메서드 시그니처 재정이의 범위에서 제외되며 단지 메서드의 바디를 제정의한다. 이때 매서드 시그니처는 재정의 범위에서 제외되며 단지 메서드의 바디만을 재정의 하게된다. *메서..

JAVA - 16.상속

네이버 사전에선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사람의 사망으로 인한 재산상 법률관계의 포괄적 승계. 종래 한국의 상속법은 재산상속과 더불어 호주상속(戶主相續)을 인정하는 복합적인 상속제도를 취하였다. 호주상속은 호주권의 승계를 위한 일 자바의 뜻도 위의 내용과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다른점은 죽어서 주는게 아니라 똑같이 복사해서 모두 줍니다. 아! 세금도 없어요 ..ㅋ 상속이란? 새로운 클래스를 구현할 때 다른 클래스의 구성요소(필드, 메서드)를 물려받아 사용한다면 개발 속도를 향상시킬수 있습니다. 새로이 만들어지는 클래스의 구성요소로 흡수하는 것을 상속(Inhertiance)이라고 합니다. *물려주는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또는 상위 클래스, Super 클래스)라고 하며, 물려받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또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