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1037

자바 변수이해하기

자바 변수의 이해 컴퓨터에 저장공간이 있다는건 모두 아시죠?저장공간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메모리와 하드디스크입니다. 하드디스크는 용량이 커다란 대신에 처리속도가 느립니다.메모리는 용량이 하드디스크보다 적은 대신 읽고 쓰는 속도가 빠릅니다.따라서 하드에서 CPU로 자료를 옮겨서 처리하려면 엄청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메모리에 하드에있는 자료를 옮겨서 CPU로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죠 갑자기 저장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변수를 설명하기 위해서 입니다.메모리는 처리속도가 빠른대신에 용량이 제한적입니다. 그러므로 제한된 메모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나누어 빠르게 CPU에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합니다. 우선 자료를 컴퓨터에 제공하기 전에 그 자료를 담을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 봅시다..

기본문법, 주석

자바의 주석문 컴퓨터는 멍청해서 정해지지 않는 구문이 들어오면 에러를 띄우게 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하다보면 소스파일에 설명을 붙이고 싶을때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가 여기에서 여기까지는 무시해라 라고 인식하게 하는 소스가 있습니다. 이 것을 주석이라고 합니다. 한줄 주석 // 하고싶은 말 문장 주석 /* 하고싶은 말 */ 문서화 주석 /** 하고싶은 말 */ 문장의 끝 알림 자바에서는 실행문이 끝나면 반드시 문장 종료를 알리는 세미콜론(";")으로표시한다. 보통 한 라인에 여러 개의 명령을 쓸 수 있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한 라인에 한 개의 명령문장을 쓰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System.out.println("화면에 출력하는 소스");

자바프로그램의 이해

소스파일의 구성 자바의 프로그램의 구성은 다음과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메모장을 생성한뒤 거기에 프로그램 소스를 입력합니다 //여기까지가 소스파일 그리고 메모장의 제목과 확장자를 test.java로 바꾸고 저장합니다.저장한 파일을 컴파일 하면 test.class 파일로 바뀌게 됩니다.//여기까지가 클래스 파일 위의 클래스파일을 폴더 안에 집어 넣습니다.//위의 폴더가 패키지 파일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적어둔 프로그램 언어를 자바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과정 JAVA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소스는 어떤 목적을 위해 자바라는 언어로 서술되어 있는 문장을 의미하며,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만들고 편집한다. 소스파일은 확장자가 java이며 실행파일은 확장자가 cl..

JAVA 구축후 테스트하기

잘 설치됬는지 테스트 해보기 우선 Stest.java를 다운받아서 C드라이브에 test폴더를 생성후 폴더에 파일을 집어 넣습니다. public class S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This is my first program"); } } 위의 소스를 실행하여 자바가 잘 작동하는지 테스트 해 보겠습니다. 우선 cmd 창에 들어갑니다. window + R --> cmd 입력후 엔터 이제 도스창에서 Stest.java를 컴파일합니다. 컴파일한 Stest.class를 실행시켜 봅니다. ※ 대소문자구분 잘 하세요! 자바 컴파일러 개념잡기 자바 소스 파일(.java)를 컴파일하기 위해서는 자바 컴파일러인 javac.ese를..

JAVA 목차

이론 예제 1. 자바 환경 구축하기 2. 잘 됬는지 테스트하기 3. 자바프로그램의 이해 4. 기본문법 및 주석 5. 변수 이해하기 6. 데이터 타입, 문자열 형변환 - String 관련 정리 7. 연산자 8. 배열 9. 제어문에 대한 이해 ≫ 조건문 IF ≫ 조건문 SWITCH ≫ 반복문 ≫ 분기문 9. 메소드(함수) 이해하기 10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클래스 ≫ static ≫ 제한자 ≫ 나머지 제한자 11 변수의 구분 12 패키지 13 API문서 보는방법 14 생성자 15 상속 16 오버라이딩 20. 입력과 출력 21. Window Programming - AWT - AWT 컴포넌트 이해 - AWT 컴포넌트 활용 └ 판넬(Panel) 및 레이아웃 배치방법 └ Frame └ Label └ TextFi..

계층별 프로토콜의 종류

OSI 7 계층 TCP/IP IPX/SPX Application 계층 FTP, TELNET, SMTP, DNS, DHCP Netware, Application, NCP(Netware Core Protocol) Presentation 계층 Session 계층 Transport 계층 TCP, UDP SPX Network IP, APP, ICMP IPX Data Link SLIP, PPP Ethernet(IEEE802.3) TokeRing(IEEE502.5) Physical계층 TCP/IP 프로토콜은 모든 컴퓨터들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개 프로토콜이고 IPX/SPX는 Novell사의 Netware 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TCP/IP나 IPX/SPX란 이름은 하나의 단일 프로토콜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

이론 2013.06.12

물리적 계층

물리적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표준을 정의한다. 물리적인 표준에는 각각의 네트워크 카드들이 사용하는 케이블의 종류,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 사용하는 신호의 전기 전압 등등이 있다. 한쪽 컴퓨터에서는 신호 전달을 위해서 4개의 전기선을 사용하는데 다른 쪽 컴퓨터에서는 8개의 전기선을 사용한다면 당연히 두대의 컴퓨터가 연결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한쪽 네트워크 카드에서는 100Mbps로 신호를 보내는데 다른 쪽에서는 10Mbps의 신호밖에 처리할 수 없다면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것이다. 물리적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는 허브와 리피터가 있다. 즉, 허브나 리피터는 위쪽 계층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동작하는 것이다.

이론 2013.06.11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인 주소를 관리한다 우리는 이미 네트워크상에서 각각의 컴퓨터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컴퓨터 이름'이나 'IP주소'와 같은 논리적 주소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논리적인 주소인 '컴퓨터 이름'이나 'IP 주소'를 사용하여 상대방ㄴ 컴퓨터를 구분합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목적지 컴퓨터로 전달이 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 주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고 ㅋ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 주소를 MAC주로라고도 부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앞 페이지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 받은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케이블에 흘려 보ㄴㅐㄹ 데이터 형태인 프레임을 만듭니다. 프레임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이더넷..

이론 2013.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