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목록 1037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은 논리적인 주소를 담당하고 패킷의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논리적과 물리적의 차이를 알아보자면 논리적 개념은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물리적 개념은 네트워크 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ID 즉 MAC Address를 칭한다. 맨처음 OSI7계층 개념잡기에서 배웠을 것 입니다. 7개의 단계로 네트워크 전송경로가 나뉘어지고 각각의 계층마다 그 계층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데이터에 붙입니다. 네트워크 계층도 이와 마찬가지로 전송할 곳의 주소를 붙이는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에는 IP, IPX, ARP 등이 있습니다. 팁! IPX는 노벨이란 회사에서 만든IPX/SPX란 프로토콜에서 논리적인 주소를 담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IPX는 80..

이론 2013.06.11

트랜스포트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로 보낸 데이터가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착하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서 설명하자면 1GByte의 파일을 다른 컴퓨터에 전송한다고 생각 할 때 그 컴퓨터에 1Gbyte를 전송하는 도중에 잘못 전송되어 파일에 이상이 발생한다면 다시 1Gbyte의 파일을 받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파일을 1Mbyte나 10Kbyte로 나눠서 전송시킨다면 오류가 생긴 부분만 다시 받으면 되므로 시간과 정확도에서 효율이다. 조각으로 나뉘어서 전송된 파일을 뭉쳐서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것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이다. 이러한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에는 TCP와 UDP, SPX등이 있다.

이론 2013.06.11

세션 계층

세션 계층의 역할은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을 할 경우에 양쪽 컴퓨터간에 최초에 연결이 되도록 하고 통신 중에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상호간에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보자. 어느 한 홈페이지에서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려고한다. 하지만 다운받으려고 버튼을 클릭했는데 잘 되던 홈페이지가 표시할 수 없는 페이지라고 뜬다.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세션 계층이다. 그리고 접속이 되었다 하더라도 파일을 받지 못 할때가 있다. 이것은 해당 홈페이지가 사용자의 접속을 제안하기 때문이다. 이런 것도 세션계층의 역활이다. 정리하자면 세션계층은 컴퓨터와 연결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론 2013.06.11

프리젠테이션 계층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네트워크로 보내질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한다. 우리가 바라보는 동영상, 그림, 음악, 글자들은 모두 형식이 있다. 동영상 : avi, wmv 음악 : mp3, wav 그림 : GIF, JPEG, tif 글자 : ASCII, EBCDIC 등등이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형식인데 컴퓨터는 바보라서 음악 형식인 mp3를 wav라고 입력하면 컴퓨터가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는 정확하게 형식을 전달해줘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프리젠테이션 계층의 역할이다.

이론 2013.06.11

어플리케이션 계층

7단계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검색하려면 적당한 웹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메일을 보내려면 그 메일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거죠(SMTP)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연결시켜주는 거구요(FTP) 이런 식으로 어플레이션 계층은 필요한 프로그램에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 프로토콜은 FTP(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등이 있다.

이론 2013.06.11

어플리케이션 계층

7단계인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검색하려면 적당한 웹브라우저를 사용합니다 좀 어려운 말로 말하면 다른 프로토콜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해 주는 기능이 바로 어플리케이션 계층이다. 주 프로토콜은 FTP(File Transfer Protocol) telnet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등이 있다. 프로토콜은 나중에 생각해 보도록 하자.

이론 2013.04.06

컴퓨터 활용능력 1급 실기 2012년 2회 기출문제 - 엑셀

2012년 2회 엑셀 다운로드 문제1 기본작업(25점) 주어진 시트에 대하여 다음 작업을 수행하고 저장하시오. 1.‘기본작업-1’시트에서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하여 의 데이터를 다음의 조건에 따라 [B2] 셀부터 표시하시오. (15점) ▶ 테이블의 데이터를 ‘고객번호’, ‘ 관할사업소’, ‘사용량’, ‘검침일’, ‘사용금액’ 열의 순서로 가져오시오. ▶ ‘사용량’이 100 이상이고 ‘검침일’이 2012년3월10일 이전인 행만을 대상으로 하시오. ▶ 첫째 기준을 ‘관할사업소’, 둘째 기준을 ‘사용량’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하여 가져오시오. ▶ 가져온 데이터의 표를 ‘범위로 변환’을 실행하여 정상 범위로 변환하시오. (풀이, 및 해답보기) 2.‘기본작업-2’시트에서 다음과 같이 고급 필터를 수행..

2012년 2회 기출문제 - ACCESS

2012년 2회 엑세스 다운로드 문제1 DB 구축(30점) 1. 고객별로 가구의 주문 현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음 지시사항에 따라 각각의 테이블을 완성하시오.(각 4점) 테이블 ① ‘이름’ 필드에는 값이 반드시 입력되도록 설정하고, 필드 크기를 10으로 설정하시오. ② ‘전화번호’ 필드에는 입력시 ‘(###)-###-####’와 같은 형태로 표시하되, 기호는 저장되지 않도록 입력 마스크를 설정하시오. ▶ 사용자 지정 기호 #을 사용할 것 ③ ‘신용’ 필드에는 ‘GOOD’과 ‘BAD’만 입력되도록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시오. 테이블 ④ ‘주문일’ 필드에는 새 레코드 추가 시 기본적으로 현재의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도록 설정하시오. 테이블 ⑤ ‘주문번호’ 와 ‘제품번..

기타 2013.04.02